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윈도우10 ESU 등록 안될 때 즉시 해결법

by firmgod 2025. 10. 15.

윈도우 10 확장 보안 업데이트 등록 시 "지금은 등록할 수 없다"는 오류 메시지가 뜨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주요 원인은 버전 미달, 최신 업데이트 미적용, 계정 문제, 필수 서비스 비활성화입니다. 단계별 해결 방법을 차근차근 따라하시면 대부분의 윈도우10 ESU 등록 불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22H2 버전 확인과 업데이트 필수 조건

윈도우 10 확장 보안 업데이트는 반드시 22H2 버전(빌드 19045.x 이상)에서만 등록할 수 있습니다. Win+R 키를 누르고 "winver"를 입력하면 현재 사용 중인 버전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버전이 낮은 상태라면 설정에서 Windows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누적 업데이트까지 전부 설치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놓치는 부분이 선택적 업데이트까지 설치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최신 보안 패치와 기능 업데이트가 모두 적용되어야 ESU 등록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업데이트 완료 후에는 반드시 시스템을 재부팅하고, 다시 한 번 업데이트 확인을 통해 추가 업데이트가 없는지 점검하세요.

 

2025년 기준으로 22H2는 마지막 기능 업데이트이며, 이 버전에서만 무료 확장 보안 업데이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 경우에도 처음에는 21H2 버전에서 계속 등록이 안 되다가 22H2로 업데이트한 후에야 등록 버튼이 활성화되었던 경험이 있어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전환과 서비스 활성화 방법

윈도우10 ESU 등록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한 상태에서만 가능하며, 로컬 계정 사용 시 등록 버튼이 아예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설정의 계정 메뉴에서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기존 로컬 계정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계정 전환 후에는 로그아웃했다가 다시 로그인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서비스 활성화도 중요한 단계입니다. Win+R을 누르고 "services.msc"를 입력하면 서비스 관리 창이 열립니다. Windows Update, BITS(백그라운드 지능형 전송 서비스), Workstation 서비스가 모두 "자동" 시작 유형으로 설정되어 있고 실행 중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중지되어 있거나 수동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각 서비스를 더블클릭해서 자동으로 변경하고 시작 버튼을 눌러주세요.

 

서비스 설정 변경 후에는 PC를 재부팅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합니다. 회사 동료가 이 부분을 놓쳐서 한참을 헤맸던 적이 있는데, 서비스만 활성화했더니 바로 해결되더라고요.

 

ESU 등록 명령어 실행과 성공 확인 절차

위의 방법들로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에서 직접 등록 자격을 평가하는 명령을 실행해야 합니다. 시작 메뉴에서 "cmd"를 검색하고 우클릭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후, cmd /c ClipESUConsumer.exe -evaluateEligibility 명령을 입력합니다. 명령 실행 후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등록 자격이 재평가되어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등록 성공 여부는 설정의 업데이트 및 보안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등록되면 Windows 업데이트 화면에 확장 보안 업데이트 등록 상태, 남은 기간, 혜택 안내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추가로 관리자 명령 프롬프트에서 ESU 활성화 ID 관련 명령을 입력해 활성화 상태를 다시 확인할 수 있어요. 만약 위 표시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등록이 완료되지 않은 것이므로, 처음부터 다시 단계를 점검해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 ESU 등록이 순차적으로 배포되는 정책 때문에 며칠 후 다시 시도하면 해결되기도 합니다. 저도 첫 시도 때는 안 되다가 3일 뒤에 다시 해보니까 바로 등록이 되었던 경험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