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건강검진 비용 얼마나 들까 - 50대는 뭘 더 해야 할까

by firmgod 2025. 11. 1.

처음엔 그냥 간단히 알아보려 했는데... 얼마 전에 친구가 그러더라고요. "야, 너 올해 검진 받았어?" 그 말 듣고 보니까 저도 벌써 2년이나 미뤘더라고요. 그래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알아봤습니다. 근데 알아보다 보니까 생각보다 복잡하더라고요? 일단 비용부터 천차만별이고... 검진 종류도 되게 많고, 솔직히 뭘 어떻게 해야 할지 처음엔 좀 막막했어요. 그래서 이렇게 정리해봤습니다.

기본 건강검진은 사실 공짜나 다름없어요

우선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해주는 일반 건강검진 있잖아요. 이건 거의 무료라고 보면 됩니다. 공단이 대부분 비용을 부담해주거든요. 근데 이게 2년에 한 번씩 대상자가 되는데, 저는 이것도 계속 까먹고... 하여튼.

 

병원이나 보건소 가서 기본 검진만 받으면 본인 부담 없거나, 있어도 2~3만 원 정도예요. (2025년 1월 기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근데 이게 정말 기본 중의 기본이라서, 뭔가 좀 더 자세히 보고 싶으면 종합검진을 알아봐야 해요.

종합검진 비용, 솔직히 좀 부담되긴 하더라고요

제가 몇 군데 알아본 결과... 음, 생각보다 가격대가 넓어요.

기본 종합검진은 대체로:

  • 남자 기준으로 43만~85만 원 선
  • 여자는 49만~96만 원 정도

이게 왜 차이가 나냐면, 여성은 부인과 관련 검사들이 추가로 들어가잖아요. 유방이라든지, 자궁이라든지...

정밀 검진은 좀 더 올라가서 143만 원 이상이고요. 프리미엄이나 특화 검진은 아예 260만~480만 원대까지도 있더라고요. 이 정도 되면 사실 좀... 고민되긴 하죠.

(출처: 대한병원협회 건강검진센터, 고려대의료원 건강증진센터, 2024-2025년 자료 기준)

나이별로 조금씩 달라지는 비용

재밌는 건(?) 나이에 따라서도 가격이 조금씩 다르더라고요.

  • 35세 미만: 약 79만 원
  • 35~49세: 약 83만 원
  • 50~69세: 약 90만 원
  • 70세 이상: 약 94만 원

나이 들수록 검사 항목이 늘어나니까 그런 것 같아요. 뭔가 씁쓸하긴 한데... 어쩔 수 없죠 뭐.

특화 검진은 아예 다른 세계

암 정밀검진, 심장·뇌 특화, 전신 MRI 이런 것들은 또 별도예요. 이건 정말 목적이 뚜렷할 때 하는 거라서 20만~130만 원대까지 다양하고, 심지어 풀 패키지로 가면 480만 원까지도 간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처음에 "이 정도면 해외여행 한 번 가겠네" 싶었는데, 건강이 우선이니까... 뭐 필요하면 해야죠.

(서울대병원 건강증진센터, 서울아산병원 건강증진센터 2025년 자료)

50대라면? 좀 더 신경 써야 할 것들이 있어요

사실 이 글을 쓰게 된 계기가, 제 친구가 올해 50 넘었거든요. 그래서 50대엔 뭘 더 봐야 하나 찾아봤는데...

이건 꼭 추가하는 게 좋겠더라고요

위·대장내시경
이건 진짜 필수인 것 같아요. 50대 되면 위암, 대장암 발병률이 확 올라간다고 하더라고요. 저희 삼촌도 50대 초반에 대장내시경 했다가 용종 발견하고 바로 제거했어요. 그때 진짜 다행이었다고...

복부 초음파
간, 췌장, 담낭, 신장... 이런 내부 장기들 확인하는 거요. 이것도 중요하더라고요.

심장·경동맥 초음파
혈관 관련해서 보는 건데, 50대 넘어가면 동맥경화 위험이 높아진다고 해서. 아, 그리고 뇌혈관도 같이 보는 게 좋대요.

흉부 CT
담배 피우시는 분들은 특히요. 폐암 위험 평가하는 거라서...

골밀도 검사
특히 여성분들은 폐경기 이후에 골다공증 위험이 확 높아진다고 하니까. 남성도 나이 들면 해야 하고요.

그 외에도 갑상선 초음파, 암표지자 검사, 전립선 검사(남성), 유방·자궁 초음파(여성) 이런 것들이 있는데... 음, 다 하려면 비용이 꽤 올라가긴 해요.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립암센터 2024-2025 권고사항 기준)

그래서 50대 종합검진, 돈은 얼마나 들까?

기본 종합검진만 하면 70만~80만 원 선이에요. 남자 73만 원, 여자 78만 원 정도?

근데 위에서 말한 추가 검사들 넣으면... 100만~150만 원은 각오해야 할 것 같아요.

  • 내시경들: 항목당 5만~30만 원 추가
  • 초음파나 CT: 각각 5만~30만 원 이상
  • 특수 정밀 패키지(암, 심혈관, 뇌혈관): 150만~300만 원대

솔직히 처음 봤을 때 "이게 맞나?" 싶었는데, 여러 병원 비교해보니까 비슷하더라고요.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광주기독병원 건강증진센터 2025년 자료)

병원마다 다르니까 꼭 비교해보세요

근데 이게 병원마다, 지역마다 또 달라요. 같은 항목인데도 가격 차이가 꽤 나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몇 군데 전화해봤는데요...

어떤 곳은 이벤트 할인도 해주고, 어떤 곳은 패키지로 묶으면 조금 저렴하게 해주고. 그래서 예약 전에 상담 꼭 받아보시는 게 좋아요. 전화로 물어보면 친절하게 다 설명해주더라고요.

Q&A: 제가 궁금했던 것들

Q: 국가암검진으로 할 수 있는 것도 있나요?
네, 있어요.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은 국가에서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 있어요. 대상자면 무료거나 본인부담 10% 정도만 내면 되고요.

Q: 굳이 비싼 검진 해야 하나요?
음... 이건 정말 개인 상황에 따라 다른 것 같아요. 가족력 있으면 그 쪽 집중해서 보는 게 좋고, 평소에 건강한 편이면 기본 검진에 몇 가지만 추가해도 충분할 수도 있어요.

Q: 건강보험 적용되나요?
예방 목적 검진은 대부분 비급여예요. 근데 뭔가 이상 소견 나와서 추가 검사하거나 치료받을 때는 보험 적용되는 경우 많아요.

제 생각엔요...

저도 이번에 알아보면서 느낀 건데요. 검진 비용이 부담되긴 하지만, 그래도 1~2년에 한 번 제대로 체크하는 게 나중에 병 생기는 것보단 훨씬 낫겠더라고요.

특히 50대 넘어가시면... 주변에서 아픈 분들 얘기 들으면 진짜 남의 일 같지 않잖아요. 저희 아버지도 올해 예순인데, 이번엔 꼭 제대로 된 검진 받으시라고 말씀드려야겠어요.

그리고 한 가지 더, 병원 선택할 때는 가격만 보지 말고 검진센터 시설이랑 사후관리 시스템도 좀 보세요. 어떤 곳은 결과 나온 후에 상담도 제대로 안 해주더라고요.

 

 

※ 면책사항
이 글의 모든 비용 정보는 2024년 하반기~2025년 초 기준이며, 참고용입니다. 실제 비용은 병원, 지역, 선택 항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해당 의료기관에 직접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의료 관련 결정은 전문의와 상담 후 하시길 권장합니다.

 

참고자료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안내 (2025)
  • 대한병원협회 건강검진센터
  •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고려대의료원 건강증진센터 (2024-2025)
  •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광주기독병원 건강검진 프로그램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