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콘택트렌즈 통증! 렌즈 제거 후에도 아픈 원인과 응급 대처법

by firmgod 2025. 5. 9.

 

콘택트렌즈를 뺀 후에도 계속되는 눈 통증은 심각한 건강 문제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렌즈를 제거했는데도 지속되는 충혈과 통증은 단순한 불편함이 아닌 즉각적인 의료 조치가 필요한 상황일 수 있습니다. 특히 렌즈에 이물질이 묻어 있었다면 각막 손상이나 감염의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콘택트렌즈
콘택트렌즈

 

렌즈 제거 후에도 통증이 지속되는 주요 원인

 

 

각막 손상은 렌즈 제거 후에도 지속되는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렌즈 표면에 묻은 이물질이나 먼지가 각막을 긁어 상처(찰과상)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상처는 렌즈를 빼내도 계속 아프며, 눈을 깜빡일 때마다 더 심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각막 찰과상의 증상: 이물감, 통증, 눈물 과다 분비, 충혈, 빛에 민감해짐
  • 위험 요소: 오래된 렌즈 사용, 부적절한 렌즈 관리, 렌즈 착용 중 눈 비비기
  • 심각성: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할 경우 감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음

렌즈 관련 감염은 시력을 위협하는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미생물성 각막염은 세균, 진균(곰팡이), 아메바 등에 의해 발생하며, 렌즈 사용자에게 특히 위험합니다. 이런 감염은 렌즈를 제거한 후에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오히려 악화될 수 있습니다.

  • 감염의 주요 증상: 심한 통증, 진한 충혈, 시력 저하, 눈부심, 눈물, 분비물 증가
  • 위험 요소: 수면 중 렌즈 착용, 수돗물로 렌즈 세척, 렌즈액 재사용, 렌즈통 불규칙 교체
  • 경고 신호: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시력이 흐려지면 즉시 의료 도움 필요

알레르기 반응이나 렌즈 불내성도 지속적인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렌즈 소재나 관리 용액에 포함된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또는 장기간의 렌즈 착용으로 인한 눈의 건조와 염증 반응도 렌즈를 빼낸 후에도 지속되는 불편함의 원인이 됩니다.

 

렌즈 제거 후 통증 시 응급 대처법

 

 

응급 상황에서의 올바른 대처는 시력 보존에 결정적입니다. 렌즈를 제거한 후에도 심한 통증이 지속된다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추가적인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절대 눈을 비비지 마세요. 눈을 비비면 각막에 생긴 상처가 더 심해질 수 있으며, 감염 물질이 더 넓게 퍼질 위험이 있습니다.
  • 깨끗한 물로 눈을 헹구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수돗물에는 아칸타메바와 같은 미생물이 있을 수 있어, 각막에 상처가 있는 경우 감염 위험을 높입니다.
  • 인공눈물을 사용할 경우, 방부제가 없는 일회용 제품을 선택하세요. 다만, 심한 통증이 있다면 인공눈물만으로 대처하기보다 빠른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렌즈와 관련 용품을 보관하는 것은 진단에 큰 도움이 됩니다. 문제가 발생한 렌즈, 사용하던 렌즈통과 용액 등을 버리지 말고 의사에게 가져가면 정확한 원인 파악에 도움이 됩니다.

  • 사용 중이던 렌즈를 렌즈통에 보관 (가능하면 새 용액으로)
  • 사용하던 렌즈 용액 병도 함께 가져가기
  • 최근 사용한 인공눈물이 있다면 함께 준비

즉시 안과 진료가 필요한 위험 신호를 알아두세요. 다음과 같은 증상이 있다면 지체 없이 안과 의사나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장기적인 합병증 예방과 올바른 렌즈 관리

 

 

적절한 렌즈 관리는 심각한 눈 건강 문제를 예방하는 열쇠입니다. 많은 렌즈 관련 합병증은 잘못된 렌즈 관리나 착용 습관에서 비롯됩니다. 안전한 렌즈 사용을 위한 핵심 지침을 기억하세요.

  • 렌즈 착용 전후 반드시 손 씻기
  • 제조사가 권장하는 착용 시간을 초과하지 않기
  • 수면 중 렌즈 착용 절대 금지
  • 렌즈통은 3개월마다, 렌즈액은 매일 새것으로 교체
  • 수영장이나 목욕탕에서 렌즈 착용 피하기

정기적인 안과 검진은 초기에 문제를 발견하는 데 중요합니다. 렌즈 사용자는 증상이 없더라도 6개월~1년마다 정기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경우 검진 주기를 더 앞당기는 것이 권장됩니다.

  • 이전에 렌즈 관련 감염이나 합병증을 경험한 경우
  • 당뇨병, 자가면역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 건성안 증상이 심한 경우

렌즈 착용으로 인한 눈 건강 문제는 적절한 대처와 빠른 치료로 대부분 해결 가능합니다. 하지만 방치할 경우 시력 저하나 영구적인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렌즈 제거 후에도 지속되는 통증은 결코 가볍게 여기지 말고, 전문의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