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용대차확인서 작성법 완벽 가이드

by firmgod 2025. 5. 20.
반응형

청년내일 저축계좌를 신청하려는데 부모님 집에 살고 계신가요? 무상으로 거주하는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사용대차확인서가 필요합니다. 많은 청년들이 이 서류 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은 사용대차확인서 작성 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저축계좌

 

사용대차확인서 필수 기재사항과 주의점

 

 

사용대차확인서는 무상거주 사실을 증명하는 중요한 서류입니다. 청년내일 저축계좌청년내일 저축계좌 신청 시 부모님 소유 집에 무상으로 거주한다면 이 서류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임대인은 집의 실제 소유자(계약자)인 아버지(부모님)를, 임차인은 청년내일 저축계좌를 신청하는 본인을 기재해야 합니다.

 

다음은 사용대차확인서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항목들입니다:

  • 임대인 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실제 소유자의 주소), 연락처
  • 임차인 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실제 거주지), 연락처
  • 부동산 표시: 정확한 주소, 종류(아파트/단독/다세대 등), 면적(선택)
  • 사용대차 내용: 임대기간, 임차료("무상", "0원" 등), 사용목적(주거용)
  • 특약사항: "본 부동산에 대해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무상사용을 확인함" 등
  • 서명: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서명 또는 도장 필요
  • 작성일자: 작성한 날짜

임대기간 작성 시 시작일은 실제 거주 시작일을 기재하고, 종료일은 "별도 기재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보통 "~ 현재" 또는 "별도 기재 없음"으로 작성해도 인정됩니다. 예를 들어 "2022년 3월 1일 ~ 현재" 또는 "2022년 3월 1일 ~"과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대차확인서 양식과 작성 예시

 

 

사용대차확인서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사용대차확인서

임대인(소유자): 홍길동 (주민등록번호: 123456-1234567, 주소: 경남 거창군 00읍 00로 123)
임차인(사용인): 홍길순 (주민등록번호: 234567-2345678, 주소: 경남 거창군 00읍 00로 123)
부동산 소재지: 경남 거창군 00읍 00로 123, 아파트(또는 단독주택)
임대기간: 2022년 3월 1일 ~ 현재
임차료: 무상
사용목적: 주거용
특약사항: 본 부동산에 대하여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주거목적으로 무상사용을 확인합니다.

2025년 5월 20일

임대인: (서명 또는 도장)
임차인: (서명 또는 도장)

작성 시 다음 사항에 유의하세요:

  • 컴퓨터로 작성 후 출력하여 임대인(부모님)과 임차인(본인)이 각각 서명 또는 도장 날인
  • 임대인과의 관계는 "부(父)" 또는 해당하는 관계로 기재
  • 임차료는 반드시 "무상", "없음" 또는 "0원" 등으로 명확히 표기
  • 사용목적은 "주거용"으로 작성
  • 임대인(부모님)의 인적사항은 등본 또는 등기부등본 기준으로 정확히 작성

작성된 서류는 청년내일 저축계좌 신청 시 제출하면 됩니다. 임대인(부모님)의 서명 또는 도장은 반드시 받아야 하며, 대리인이 작성할 경우 임대인 신분증 사본 등 추가서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추가 팁

 

 

사용대차확인서와 관련된 자주 묻는 질문과 유용한 팁을 모았습니다:

  1. Q: 지정된 양식이 있나요? A: 기관(주민센터 등)에 따라 지정 양식이 있을 수 있으니, 사전에 문의하여 양식이 있으면 해당 양식을 사용하세요.
  2. Q: 인감도장이 필요한가요? A: 일반적으로 인감도장까지는 필수가 아니며, 서명이나 일반 도장으로도 충분합니다.
  3. Q: 가족과 같이 살 경우에도 필요한가요? A: 가족(특히 부모님)과 같이 살면서 무상거주라면, 별도의 임대차계약서 없이 사용대차확인서로 충분합니다.
  4. Q: 제목은 어떻게 써야 하나요? A: "사용대차확인서", "무료임대차확인서", "무상거주사실확인서" 등의 제목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5. Q: 서류 제출 전 확인할 사항은? A: 모든 정보가 정확하게 기재되었는지, 필수 서명이 모두 되어있는지, 날짜가 정확한지 꼼꼼히 확인하세요.

청년내일 저축계좌 신청 시 사용대차확인서를 정확하게 작성하면 무상거주 증명에 문제가 없습니다. 이 가이드에 따라 작성하시면 청년내일 저축계좌 신청에 필요한 사용대차확인서를 문제없이 제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